2024학년도 대학원생 및 학부연구생 모집 안내
- 자동화연구실
- Hit5205
- 2022-07-13
1. 모집 대상
- 학부 졸업 혹은 재학 중이며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자
- 전자/전기, 컴퓨터, S/W, H/W 설계, Deep-learning 관련 전공자
2. 연구 분야(4개 팀으로 구성)
■ ECU Platform & Network (제1종합연구동 8층)
- In-vehicle Network/Embedded System 연구(ECU-based platform research)
: 3대 차량용 반도체 (NxP / Renesas / Infineon) 개발 보드 보유
- Vector Network Stress Generator, CANoe 및 Network Simulation 장비 보유
■ Vision Hardware (SOC) (반도체관 5층)
- Image processing FPGA & ZYNQ hardware design
- Deep learning acceleration hardware module design
■ Intelligent Vision Software (제2종합연구동 3층)
- Deep/Machine Learning 개발 유경험자 위주로 선발 (Pytorch/Tensorflow 사용 경험 필수)
- Vision-based Intelligent Traffic Surveillance System
- Autonomous Driving Systems on Embedded Device
- Deep learning-based Image Enhancement and Synthetic Image Generation
- Vision Software 지원자의 경우, 반드시 인턴 과정을 통해 "임베디드 시스템 기초/응용 강좌"를 선이수해야 함
(임베디드 시스템 강좌는 연구실에서 자체 제작한 강의로 구성)
■ Motion Control (제2종합연구동 3층)
- Motion control, Fault prediction
- Robotics, Powertrain(Motor) Control System Design (Using Simulink, MATLAB, AUTOSAR, etc.)
3. 연구 지원
1) 프로젝트를 통한 등록금 전액(석/박사) 및 생활비 지원(박사)
2) 국제학회 논문 투고, 특허 출원 등 다양한 기회 제공 및 비용 전액 지원
3) Deep-learning 학습을 위한 Workstation 제공
4) FPGA 개발을 위한 Zynq 및 FPGA Board 제공
5) 다양한 ECU Platform 개발 도구 제공 (연구실 자체 개발 플랫폼 보유)
6) 외부 교육 프로그램 수강료 전액 지원 (Vector사 CANoe 교육 등)
7) AUTOSAR Platform 개발 도구 보유 (EB Tresos 등)
4. 지원자 제출 서류
- C.V. (이력서)
- 학부 성적증명서
- PORTFOLIO (본인의 프로젝트 경험 기술)
- 위 서류는 반드시 제출하고, 추가적으로 별도의 자료를 제출하셔도 됩니다.
*관련 지원 및 문의가 있으신 분은 메일(jwjeon@skku.edu) 혹은 연락 후 방문 바랍니다.
Automation lab 400532호(Tel. 031-290-7129) 전재욱 교수연구실
- Previous
- No previous post
- Next
- No new post